2012년 5월 4일 금요일

일곱번째 블로그 포스팅_Different learning styles for Different Learners

이러닝이 학습자의 선행학습과 능력의 차별을 고려하면서 효율적 학습을 추구하기 위해 첨부터 어떻게 다이나믹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지 의견을 나눠주시기 바랍니다.

1.  Learning objects (LO) aligning different learning styles
2. The Five Attributes of I Innovative E-Learning
3.  10 Instructional Design Tips for e-Learning Development
4. Options in learning series: Visual/spatial learning

댓글 34개:

  1. 최경운입니다

    학습과 교육을 받아들이는 입장에서 처음부터 다이나믹하게 받아들이는 방법을 생각해봅니다.
    우선 학습에 있어서 학습효과를 높이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겠다. 물론 개인마다 학습 스타일과 업무 스타일이 다릅니다. 어떤 사람들에게는 그룹 토론을 하거나 곧장 프로젝트에 뛰어드는 것이 효과적인 반면, 새로운 것을 시작하기 전에 생각할 시간을 갖거나 혼자 작업하는 것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무언가를 배울 때마다 – 또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교육을 진행할 때 – 학습 효과를 최대화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여기서는 학습 효과를 최대화하는 몇 가지 팁을 소개합니다.

    자신의 학습 스타일을 이해합니다
    학습 스타일과 관련된 수 많은 이론들이 있습니다. 간단하면서도 자주 이용되는 한 학습 모델에서는 사람들을 시각적 학습자(전체 학습자의 65퍼센트), 청각적 학습자(30퍼센트) 또는 신체적/촉각적 학습자(5퍼센트)의 범주로 구분합니다. 다른 이론들에는 각 개인마다 어떤 연속체를 따라 이런 저런 스타일을 선호하는 등 보다 복잡한 모델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신이 선호하는 학습 스타일을 아는 것은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훌륭한 출발점입니다. 예를 들어, 자신이 기본적으로 시각적 학습자라는 사실을 안다면, 읽기, 강의 또는 기타 비시각적 형태의 강의나 정보를 그래프, 흐름도, 다이어그램 또는 비디오로 보완하여 뇌의 주요 학습 센터를 자극할 수 있습니다. 노트 필기를 할 때에는 마인드맵 방법을 이용하거나, 화살표, 기호 및 도형을 그려 연관 관계를 나타내고, 여러 가지 색상의 형광펜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자신이 언어적 또는 청각적 학습자라면 자신만의 방식으로 자료를 요약하거나 그룹 토론을 벌일 수 있습니다. 개념을 설명하고난 후, 다른 사람의 생각을 들어보는 것도 정보를 보다 잘 이해하고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는 좋은 방법입니다. 촉각적 학습자의 경우에는 무언가를 주무르거나 만질 수 있는 것을 손에 쥐고 있는 것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리고 자료를 읽거나 공부할 때에는 배경 음악을 틀어 놓고, 자주 휴식을 취하십시오. 자석 글자, 지도, 지구본, 노트 카드 또는 촉각을 자극하는 기타 학습 보완 자료를 최대한 자주 활용하십시오.

    다른 스타일도 다양하게 시도합니다
    자신이 약한 부분을 개발하는 것도 좋은 생각입니다. 그러면 한가지 학습 스타일에만 지나치게 의존하여 새로운 정보를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능력을 제한하게 되는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

    시각적 학습자가 시각적 정보에만 의존하면 문서 및 구두 정보를 이해하고 전달하는 능력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동료에게 정보를 설명하거나 신문을 읽는 등 다양한 연습을 통해 언어적 능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찬가지로, 언어적 학습자는 그래프와 지도를 읽는 연습을 할 수 있고, 촉각적 학습자는 언어적 및/또는 시각적 능력을 기르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여러 스타일을 혼합적으로 활용합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읽기만으로 학습하는 학생은 내용을 약 10퍼센트만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들은 내용은 26퍼센트, 눈으로 본 내용은 30퍼센트, 보고 들은 내용은 50퍼센트, 직접 말로 한 내용은 70퍼센트, 무엇인가를 하면서 말한 내용은 90퍼센트까지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통계 수치는 여러 가지 방법을 이용하여 학습하면 더욱 많은 정보를 유지할 수 있고, 다른 사람에게 어떤 내용을 설명하거나 발표해야 하는 사람은 학습 효과가 가장 크다는 사실을 뒷받침합니다.

    다시 말해서 가장 효과적인 학습 방법은 각각의 학습 환경에서 다양한 방식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자신이 선호하는 학습 스타일에 관계 없이 여러 가지 형태의 자극과 자료를 활용하면 좋은 학습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뇌를 위한 교차 학습으로 생각하면 좋을듯합니다

    답글삭제
  2. 최경운입니다

    어떤 다이나믹한 프로그램이어도 학습자의 태도가 더 지배적일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자신이 어떤 목표와 학습에 대한 충성도가 있는지가 더 앞선다면 훨씬 효과적이지 않을까 두번째 생각을 가져봅니다..아무리 다이나믹하게 만들었다해도 학습자의 태도가 불성실하다면 적극성을 갖고 있지 않다면 그 의미성은 다소 떨어진다는 생각을 가져봅니다

    답글삭제
    답글
    1. 학습자의 태도가 더 지배적일 것이라는 최경운선생님의 생각에 크게 공감합니다.

      삭제
  3. 최경운입니다

    제가 인터넷에서 가장 자주 찾는곳은 페이스북입니다.
    물론 그곳에서도 비형식학습이 일어납니다.
    어떤 다이나믹한 프로그램보다도 사이버상의 친구들과 글과 생각과 동영상도 함께 공유합니다.
    왜 그곳에 찾을까라는 생각을 갖게되면서 공학과 연결시켜봅니다. 페이스북에는 다이나믹한 프로그램이 존재하는게 아니라 뉴페이스의 친구들이 존재합니다.
    그러나 페이스북과 학습을 요하는 사이트와는 다른 점도 존재합니다. 학습의 효과성을 위해서 처음부터 다이나믹하게 도입할수 있는 방법은 역시 시각화일것입니다.
    연령에 맞는 효과음, 배경, 보기에도 안정적이고 무엇보다도 쉽게 열어볼수 있게 자리배치나 명도채도 8도정도의 편안한 색채도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집니다.
    교수님께서는 어떤 프로그램을 대하였을때 재미있게 게임처럼 학습할 수있었나요? 그런 프로그램으로 전개되어 가겠지만, 저는 학습은 학습일뿐 게임처럼 즐겁게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라고 생각되어집니다

    답글삭제
  4. 최경운입니다

    다이낙믹한 프로그램을 영어학습에 효과를 낸 기업이 있어 소개합니다. youtube.com이 이곳에서 열리지는 않을듯 싶어요. 열려라 공부 로제타스톤 영어학습효과..참조하세요

    답글삭제
  5. 최경운입니다

    교수님께서 지향하는 학습효과를 위해 첨부터 관심과 흥미를 가질수 있는 프로그램 제목은 정말 쉬운듯하나 어럽습니다. 그리고 교육공학의 무궁한 발전 가능성이 잠재되어 있다른 생각을 갖고 있지만, 참 어려운 과제인듯합니다
    과제에 대한 생각이 그저 막연하기만 합니다!
    교육과 학습을 게임처럼 흥미롭게 만들어간다면 정말 좋을것같다는 생각을 가져봅니다

    답글삭제
  6. 학습자의 선행학습과 능력의 차별을 고려하면서 효율적 학습을 추구하기 위해 온라인 강의 컨텐츠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방법 중에 하나가 바로 학습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합니다. 모든 학생들에게 동일한 학습 속도를 제공하는 것은 숙달된 학습자에게는 지루함을 주고, 미숙한 학습자에게는 학습을 따라가지 못하므로 학습에 흥미를 떨어지게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때문에 학습자는 본인의 능력에 따라 자율적으로 강의 컨텐츠의 재생 속도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생각됩니다.

    답글삭제
  7. 그리고 컨텐츠의 목차를 제시하는 것도 학습자의 선행 능력을 고려한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강의 컨텐츠의 내용의 목차를 제시함으로써 학습자는 자신의 선행능력에 비추어 필요한 부분을 선택하여 듣는다면 동일한 컨텐츠라 하더라도 학습자의 선행수준에 맞춰 학습자가 자율적으로 조절하여 효과적으로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지 않을까합니다.

    답글삭제
    답글
    1. 학습자 수준에 따라 학습기회제공이 이러닝의 장점입니다.
      이러닝의 목적이기도 하지요. 학습전 사전테스트를 통해 학습자현재수준을 진단하여 그 수준에 맞게 학습콘텐츠를 제공해주는 형태로 설계. 개발되어야 합니다. 또한 학습자 요구에 따라 심화 학습도 할 수 있게 말입니다.

      삭제
  8. 자신의 학습 능력이나 선행학습 수준을 인지하고 있는 성인 학습자라면 앞서 이야기 했듯이 학습컨텐츠의 재생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라든지, 컨텐츠의 내용의 목차를 제시하여 필요한 부분으로 이동하여 듣는 것이 가능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판단이 어려운 아동 학습자라면 이러한 판단을 스스로 내리기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렇게 때문에 학습의 앞부분에 학습자의 능력이나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간단한 진단평가를 제공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예를 들어 아동 학습자가 수학의 분수를 배운다고 가정해보았을 때, 학습을 하기 전에 미리 진단평가를 통해 이 학습자가 분수를 배우기 전에 곱셈, 나눗셈 등 사전 지식일 어느 정도 있는 지 등을 평가해보고 그 결과에 따라서 학습의 시작 지점을 다르게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런 경우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는데 수학과 같은 비교적 선행 지식의 수준이 위계적으로 되어 있는 경우 이러한 방법이 효과가 있겠지만 그렇지 못하는 다른 과목에서는 진단평가를 통해 선행 학습 수준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학습 시작점을 다르게 하는 것이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앞서 진단평가를 하고 그 결과에 따라 개별 학습자마다 다른 학습 시작점을 제공하는 방식은 여타 다른 방식에 비해 프로그램 개발 비용이나 용량에 있어서 더 많은 자원이 필요한 것도 제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삭제
    2. 명확한 학습목표가 선행되었다는 전제가 없다면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기 위한 다이나믹함은 자칫, 효율적인 학습을 추구하자는 기본 취지와는 달리 학습이 산으로 갈 수도 있지 않을까요?ㅎㅎ 디자인 설계시, 다이나믹함은 분명히 필요하지만 정말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할 것 같습니다.

      삭제
  9.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하는 과정을 알 수 있는 지도를 설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자신이 학습이 산으로 가는지, 바다로 가는지를 알고 있어야 학습의 맥을 찾아가지, 학습자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다고 중요한 맥을 끊이지 않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답글삭제
  10. 학습자들은 이러닝사이트에서 많이 활용되는 방이 Q&A 보다 자유게시판을 선호한다고 한다. 이는 다른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선호하기때문이다. 교수자와 교수설계자 모두 자유게시판의 목적을 사전에 명확하게 설계해두는 것은 아주 중요하다. 이는 학습자 수준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학습활동과 관련된 내용을 위주로 학습자들과 맥을 유지하면서 운영할 필요가 있다.

    답글삭제
  11. 이러닝학습에서 학습자특성에 따라 다이나믹할 수 있는 것으로.. 교수방법을 달리해보는것도 좋을 듯 해요. 학습자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PBL로 진행해도 되지 않을까요?
    PBL 특성상 학습자들이 처음부터 다이나믹하게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교수방법이므로, 교수자만 잘 숙지하고 있다면 교수방법의 특성을 살려도 좋을 듯 합니다.

    답글삭제
  12. The general purpose of educational platforms is to provide students with information as well as with practical opportunities in order to help learners to acquire certain skills and to increase their active knowledge
    about a studied topic. However, different learners ma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prior knowledge,
    motivation or needs. This diversity commonly requires the presentation of different information to different learners in a different format. That is why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 adaptive educational systems
    which consider various aspects of individual students and tailor the learning process to meet the actual
    learner’s needs.

    답글삭제
  13. Following educational requirements for adaptive systems can be identified:
    • Information should adapt to what a learner already knows (prior knowledge) or can do (prior
    skill).
    • Information should adapt to a learners’ learning capabilities.
    • Information should adapt to a learners’ learning preferences or style.
    • Information should adapt to a learners’ performance level and knowledge state (i.e. system
    should provide feedback)
    • Information should adapt to a learners’ interests.
    • Information should adapt to a learners’ personal circumstances (location, tempo, etc.).
    • Information should adapt to a learners’ motivation.

    답글삭제
  14. Factors that further contribute in this direction include:
    • the diversity in the “target” population participating in learning activities (intensified by the
    gradual attainment of life-long learning practices)
    • the diversity in the access media and modalities that one can effectively utilize today in order to
    access, manipulate, or collaborate on, educational content or learning activities
    • diversity in the context of use of such technologies
    • the anticipated proliferation of free educational content, which will need to be “harvested” in
    order to “assemble” learning objects, spaces and activities

    답글삭제
  15. Teachers or instructors, who are creating the course, should have prepared some alternations of the
    course for better or weaker students. Of course there has to be some minimum, which is required for all
    students. But the course should be able to restructuralize or adapt the process of course according to the
    learners study abilities or preferences. There should be different way how the learner can obtain required
    information (text / audio / video). Different types of group work are also advisable – different types of
    exercises or works for different types of groups. Learner then can choose what he prefers

    답글삭제
  16. When curriculum adjusts to fit individual learners or groups of learners, whether
    in the classroom or online, this is called differentiated instruction. It is an approach to
    teaching that acknowledges people have multiple paths for learning and for making sense
    of ideas.

    답글삭제
  17. As instructors when we differentiate instruction in the classroom, we are saying
    that we know students come to us with different backgrounds, preferences and needs
    ideas.
    1. Differentiation of content – Offering students the chance to start at different
    places in the curriculum and/or proceed at different paces.
    2. Differentiation of learning style approach – Emphasizing many modalities of
    learning style or learning preference, such as visual and auditory learners.
    3. Differentiation of product – Giving different assignments to different students,
    and turn in different work products

    답글삭제
  18. Technology to make content change on the fly is quite simple online. It can be as
    straightforward as html coding and back-end databases. The challenge is not in the 4
    delivery technology itself, but in establishing good logic for differentiation — if we are
    going to differentiate, how do we decide who gets what? Here we organize the most
    common e-diff strategies in use today into five general categories, based on what type of
    decision-making process and evidence is used to establish the adjustment choices.
    Approaches can also be combined, or blended, in e-learning products.

    답글삭제
  19. The five general
    strategies are:
    ƒ “Diffuse” approaches to differentiation, in which students receive the same
    content but have multiple opportunities for learning and are provided with
    different approaches for making sense of ideas planfully “diffused”
    throughout the content.
    ƒ Self-directed approaches, in which students receive different content by a
    mechanism of self-selection built in the content. This introduces
    differentiation through student choice.
    ƒ Naive differentiation, in which the computer is determining the course of
    differentiation, not the user, but no specific plan or overall strategy is in place
    in the e-learning content for why differentiation is happening, or what it is
    intended to mean in the learning context.
    ƒ Boolean differentiation, in which software uses types of Boolean logic, such
    as rule-based frameworks or decision trees, to determine how to adjust content
    for different students.
    ƒ Model-based differentiation, in which expert opinion is combined with a
    variety of data mining techniques to generate ideas for how content might be
    appropriately differentiated.

    답글삭제
  20. Intelligent agents are computer programs that learn
    users’ interests, preferences, and habits and give them proactive, personalized assistance with a computer application. In this
    work, we present eTeacher, an agent that provides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to students depending on their profile
    and on their performance with a certain Web-based course. To achieve its goal, eTeacher has to build first a student profile.
    In eTeacher, the student profile is given mainly by the student’s learning style. A learning style model classifies students
    according to where they fit on a number of scales belonging to the ways in which they receive and process information.
    The use of learning styles for experimental research in Web-based educational systems has demonstrated that providing
    material according to students’ learning styles can enhance students’ learning , and that these styles are linked to quantitative differences
    in both navigation behavior and learning performance.

    답글삭제
  21. When we talk about providing a personalized service in e-learning systems, there are two main research directions: adaptive educational systems and intelligent tutors (agents). Adaptive educational systems adapt the presentation of content and
    the navigation through these contents to a student’s profile. This profile may comprise the student’s learning style, knowledge, background, goals, among other features. Different adaptive methods are: adaptive ordering, link hiding, link removal,
    and adaptive link annotation

    답글삭제
  22. To provide personalized assistance to students, eTeacher must build a student profile. To achieve this goal, eTeacher
    unobtrusively observes the student’s behavior while he/she is taking a course via an e-learning system. The agent records
    the student’s actions and then it uses these data and the data logged by the system to build the student profile. As said before, the student profile comprises the student’s learning style and the student’s performance with a given course, such as
    the number and type of exercises done, the topics studied, and the results in exams. The student’s learning style is determined by a Bayesian network. Bayesian networks enable eTeacher to model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formation about a student’s behavior with the e-learning system. The agent can infer the student’s learning style using the
    Bayesian network given different student behaviors observed. For example, if a student participates in chat rooms and forums, eTeacher can infer that the student processes information actively and not reflectively.

    답글삭제
  23. When eTeacher detects situations in which the student might need assistance or guidance, it provides him/her help
    according to the student’s learning style, his/her stage in the course, and his/her performance. After eTeacher’s recommendations, the student can provide feedback to the agent’s assistance. This feedback can be explicit,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for this purpose, or implicit, if the agent observes the student’s actions after assisting him/her. In turn, the feedback
    provided can be positive, when the student accepts the agent’s suggestions, or negative, if the student rejects the agent’s
    assistance. eTeacher uses this feedback to adjust the information it has about the user and act accordingly in the future.

    답글삭제
  24. Sensitive students like facts, data and experimentation; while intuitive students prefer principles
    and theories. Sensitive students are patient with detail but do not like complications; intuitive students are bored by detail
    and welcome complications.
    Visual learners remember best what they see: pictures, diagrams, time lines, films, demonstrations. Verbal learners
    remember much of what they hear or read.
    Active learners do not learn much in situations that require them to be passive, and reflective learners do not learn much
    in situations that provide no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information being presented. Active learners work well in
    groups; reflective learners work better by themselves or with at most one other person.
    Sequential learners follow linear reasoning processes when solving problems; while global learners make intuitive leaps
    and may be unable to explain how they came up with solutions. Sequential learners can work with material when they
    understand it partially or superficially, while global learners may have great difficulty doing so.

    답글삭제
  25. E-Learning Instructional Methods & Activities
    Same Time / Same Place:
    (Traditional)
    Classroom Instruction
    Mini-lectures
    Interactive Lectures
    (participation required)
    Panels
    Videotape presentations
    Demonstrations
    Guided discussions
    Debates
    Student presentations
    Group collaboration
    Case study analysis
    Role playing
    In-class writing
    Simulation exercises
    Games
    Problem-based learning exercises
    Story-telling
    Hands-on Labs & Workshops
    Field Trips
    Observations
    Fieldwork or Clinical work

    답글삭제
  26. Different learners have preferences about learning styles (i.e., auditory, visual, kinesthetic, tactile; introvert / extravert; independent / social collaborative). For instance, Dr. David Kolb authored the Kolb Learning Style Inventory (1971) that includes the following learning styles as combin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observation, experience, thinking and action: Assimilating Style (planner), Converging Style (decision-maker), Diverging Style (creator), and Accommodating Style (doer). These preferences are based on how a learner processes information. Providing learning events that engage the learner's strengths is always desired.

    답글삭제
  27. 국내 이러닝은 학습대상이 유아교육, 초,중,고, 대학을 비롯 학습지, 자격증기반, 직업교육 등 단반향성 동영상 지원강의에서 스마트폰, 테블릿 PC를 활용한 첨단 디지털환경 구축, SNS의 활성화까지 파생되어 있습니다. 이러닝은 학습자의 자발적인 동기부여가 전제되어야 합니다. 혼란스러운 레이아웃을 설계하고, 불필요한 이미지와 가독성이 떨어지는 서체를 사용하는 등 콘텐츠에 있어서 잘못된 GUI디자인은 학습자와 학습동기부여에 거부감을 야기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학습효과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답글삭제
  28. 크게 성장한 이러닝 시장에 비해,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콘텐츠의 개발품질과 서비스는 그리 나아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특히 학습자에게 보이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 에 관련된 시지각적 문제점은 어느 이러닝 콘텐츠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다이나믹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전문성이 있는 인력이 부족하다는 점입니다. 전체 이러닝 기업의 40% 이상이 인력부족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다이나믹한 콘텐츠의 질적 향상을 위해 체계적인 전문 인력 양성 이 시급하다고 생각합니다.

    답글삭제
  29. 학습자의 학습 집중을 저해시키는 디자인의 문제 중 하나로 디자이너가 근본을 등한시함으로써 유발되는 실수를 들 수 있습니다. 이러닝과 콘텐츠를 포함하는 웹은 미디어 중 한 영역이며, 웹디자인은 시각정보디자인 분야의 일환으로 웹디자이너 또한 인쇄 및 방송 매체와 마찬가지로 편집디자인에 소양이 밝아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단적 매체영역으로 규정하거나 정보전달의 용이성과 조화를 무시하고 탐미에만 연연하여 디자인하는 경우 실패한 이러닝이 되겠죠? 학습자의 선행연구, 학습자의 니즈, 모두 중요하지만 이러닝 콘텐츠를 디자인 하는 디자이너의 자질과 교육적 소양이 가장 크게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답글삭제
  30. 이러닝의 경우 자기주도적 학습이라고 생각합니다. 수업의 주도권이 학습자에게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은 학습 목표, 학습 수준, 학습 내용, 학습 방법, 학습 평가 기준 등이 처음부터 학습자에 의해서 결정되고, 그 결정의 기초는 학습자 개인의 가치, 욕구, 선호 등에 둡니다. 이러닝의 자기주도적 학습은 학습자의 개인차를 중시해야 합니다. 학습자는 자신의 능력에 따라 학습 속도를 조절할 수 있어야 하고, 학습자의 선행 경험이 중요한 학습 자원이 되어야 합니다. 또한 학습 결과에 대한 책임이 학습자에게 부여되는건 당연합니다. 따라서 학습자의 자기 평가가 중시되어야 합니다.

    답글삭제